리눅스 분류
IP Aliasing 관련
작성자 정보
- 홍보성 작성
- 작성일
컨텐츠 정보
- 1,496 조회
- 0 추천
- 목록
본문
구성이 이해가지 않네요.
하나의 인터페이스에 IP를 두개 설정했는데 왜 연결된 스위치가 이상이 생기면 eth0에서 eth0:1로 넘겨야 되는지..
어짜피 연결된 랜카드는 이상이 생긴 허브인데 eth0:1로 넘겨도 다운된건 마찬가지잖아요.
Failover 구성은 리눅 머신에 랜카드를 2개 연결하고 L4 장비를 2대 각각연결하고 하나의 가상 IP를 현재 Active 되어있는 장치의 가상 eht0:1로 설정을 하는거죠.
만약 eth0쪽에 연결된 허브가 죽으면 eth1:1에 좀전의 가상 IP로 active 시킵니다.
물론 장치 모니터링은 proc나 dmesg를 참고하게 하거나 (명령어가 기억안남) 해서 살아있는 장치의 랜카드에 서비스용 고정 IP를 할당할 수 있는 방법이죠.
물론 eth0과 eth1에는 각자 고유의 IP가 지정되어있고 이는 항상 온라인 상태입니다.
routing은 aliasing으로 넘길때 플러쉬 해주고 다시 생성 해주는데 route는 dev가 아닌 via 를 통해 라우팅하면 되겠습니다.
하나의 인터페이스에 IP를 두개 설정했는데 왜 연결된 스위치가 이상이 생기면 eth0에서 eth0:1로 넘겨야 되는지..
어짜피 연결된 랜카드는 이상이 생긴 허브인데 eth0:1로 넘겨도 다운된건 마찬가지잖아요.
Failover 구성은 리눅 머신에 랜카드를 2개 연결하고 L4 장비를 2대 각각연결하고 하나의 가상 IP를 현재 Active 되어있는 장치의 가상 eht0:1로 설정을 하는거죠.
만약 eth0쪽에 연결된 허브가 죽으면 eth1:1에 좀전의 가상 IP로 active 시킵니다.
물론 장치 모니터링은 proc나 dmesg를 참고하게 하거나 (명령어가 기억안남) 해서 살아있는 장치의 랜카드에 서비스용 고정 IP를 할당할 수 있는 방법이죠.
물론 eth0과 eth1에는 각자 고유의 IP가 지정되어있고 이는 항상 온라인 상태입니다.
routing은 aliasing으로 넘길때 플러쉬 해주고 다시 생성 해주는데 route는 dev가 아닌 via 를 통해 라우팅하면 되겠습니다.
관련자료
-
이전
-
다음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